■ 윈도우를 설치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활동 정보, 앱 사용 현황, 시스템 상태 등의 추가적인 정보 등 진단데이터(텔레메트리)를 Microsoft로 자동 전송"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자동 전송 차단"함으로써 개인정보 보호 수준이 높아지며, 추가적으로 컴퓨터의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사용방법은 아래의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AllowTelemetry" 값을 레지스트리에 등록 또는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AllowTelemetry.cmd
0.00MB

 

 

■ 이 설정은 기업, 단체, 조직 또는 "개인정보 보호 요구"가 높은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블로그 및 유튜브 채널
https://yhbaek.tistory.com/
https://www.youtube.com/@BaekUp

 

BaekUp

 

www.youtube.com

 

 

Google Chrome에서 “조직에서 관리”라는 메시지가 나타난다는 것은, 현재 사용 중인 크롬 브라우저에 "정책(policy)"이 적용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 “조직에서 관리”라는 의미는 회사, 학교, 기업 등에서 PC와 브라우저 설정을 중앙에서 관리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 관리자는 원격으로 확장 프로그램 강제 설치, 특정 설정 잠금, 웹사이트 차단, 인쇄 제한 등 다양한 브라우저 정책을 적용할 수 있지만, 가정용 PC라면 이런 정책이 필요 없겠죠...

     √ 가정용 PC의 경우 평소엔 불편이나 보안상 큰 문제는 아니지만, 원치 않는 정책(광고, 검색엔진 고정 등)이 삽입되면 불편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업무용이 아닌 개인 PC라면 특별히 걱정할 필요는 없으나, 찝찝하다면 정책을 삭제하면 되고 브라우저 사용에 실질 불편이 많지 않다면 두고 써도 무방합니다만 만약 정책이 악성 툴이나 미확인 소프트웨어에 의해 삽입된 것 같으면 반드시 점검 및 제거를 권장합니다.

 

“조직에서 관리”라는 문구는 아래의 Tweak으로 제거가 가능합니다.

     "Chrome_policy_del.cmd" 파일을 마우스 우클릭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세요.

Chrome_policy_del.cmd
0.00MB

 

 

< 적용 전 >
< 적용 후 >

 

♣ 블로그 및 유튜브 채널
https://yhbaek.tistory.com/
https://www.youtube.com/@BaekUp

 

BaekUp

 

www.youtube.com

 

이번에 소개하는 내용은 윈도우에서 서로 떨어져 있는 파티션을 하나의 파티션으로 합치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윈도우에 기본 내장된 "디스크 관리" 프로그램으로는 인접한 파티션만 합칠 수 있으나,
     무료 파티션 관리 프로그램인 "Niubi Partition Editor"를 이용하면 몇 번의 클릭만으로 손쉽게 파티션을 합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요즘 많이 사용하는 M.2 NVMe SSD 및 Sata SSD, 하드디스크도 동일한 방법으로 병합이 가능합니다.
     단, 파티션을 병합하는 작업은 동일한 디스크 내에서만 가능합니다.


  파티션을 병합하기 전에 먼저 중요한 데이터는 반드시 다른 곳에 백업하여 둡니다.

 

  우선 공식 홈페이지에서 ‘Niubi Partition Editor’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합니다.

      √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hdd-tool.com/ko/download.html

 

다운로드 NIUBI Partition Editor 제품 에디션 | 다운로드 센터

네, 100% 90일 환불 보장이 있습니다. 제품을 실행하는 데 문제가 있거나 오류 메시지가 표시되면 스크린샷으로 수행한 내용이나 발생한 사항을 설명해 주세요. 제품이 도움이 되지 않으면 즉시

www.hdd-tool.com

 

      √  '포터블'을 클릭하여 다운로드합니다.
      √  다운받은 파일을 압축 해제합니다.
      √  압축이 풀린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실행합니다.

 

 영상에서는 윈도우가 설치된 'C 파티션'과 가장 오른쪽에 있는 '할당되지 않는 파티션'을 'C 파티션'으로 합쳐보겠습니다.
      √  자세한 방법은 아래 영상을 참고하세요.

 

 

♣ 블로그 및 유튜브 채널
https://yhbaek.tistory.com/
https://www.youtube.com/@BaekUp

 

BaekUp

 

www.youtube.com

 

 

 

 

■ 안녕하세요

    √ 시종일관이라고 합니다.

    √ Aomei Backupper v7.5 단일 Portable 파일 제작 및 사용기를 올려 봅니다.

    √ 요즘 제가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하는 작업이 있습니다 ^^

    √ 최근에 노랑**님께서 윈도우 24H2를 XPE 빌드할 수 있는 윈빌더를 공유해 주셨습니다.

       (노랑**님, 너무 수고가 많으셨고 또한 공유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너무나 기쁜 나머지 윈도우 24H2를 빌드할 수 있는 커스텀 윈빌더를 만들고 있습니다.

    √ 이 커스텀 윈빌더를 이용하여 XPE 빌드 시 자신이 원하는 Tool(Program) 만 선택하여 XPE를 만드는 거죠.

    ▼ 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 이렇게 커스텀 윈빌더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 툴에 대한 스크립트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 기본적으로는 우*님께서 공유해 주신 커스텀 윈빌더에서 필요한 스크립트 파일을 이용합니다.

    √ 그런데 우*님의 각 툴 스크립트 파일 중 최근에 버전이 업데이트된 툴(프로그램)은 버전업을 하여 스크립트를 다시 만들어야 합니다.

       (저도 이 작업을 하면서 우인님께서 얼마나 많은 시간과 수고가 필요했는지, 새삼 느낍니다.

        우*님 정말 수고 많으셨고, 또한 흔쾌히 공유해 주셔서 우인님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그렇게 업데이트된 프로그램 중 최근에 Aomei Backupper가 v7.4.2에서 v7.5로 업데이트가 되었습니다.

    √ 그래서 우선 단일 파일을 만들어야 하고, 그 다음 스크립트 파일을 또 만들어야 합니다 ㅠ_ㅠㆀ

    

※ 서론이 매우 길어졌습니다 ^^

    √ 각설하고 Aomei Backupper v7.5 단일 Portable 파일 사용기입니다.

    √ 윈도우 상태에서는 프로그램의 모든 메뉴가 정상적으로 보입니다.

       (아 참, 김**님~ 매번 프로그램 한글화 작업을 하시느라 노고가 많으시고요, 또한 공유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그런데 PE 부팅 후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여러가지 메뉴 중 몇 몇이 보이지 않네요.

    ▼ 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 그렇지만 자주사용하는 백업 및 복원은 문제 없습니다 ^^

    √ PE 환경에서 실컴의 시스템을 백업, 복원을 진행해 봤습니다.

    ▼ 백업 및 복원은 아무런 문제가 없이 포터블 프로그램으로 잘 진행되었습니다.

 

 

 

 

 

 

♣ 마지막입니다.                            

    √ 가장 중요한 포터블 파일을 공유합니다 ^^

    ▼ 단일 파일을 만들긴 했는데요, 용량이 그리 착하진 않네요 ㅠ_ㅠㆀ

 

    √ 포터블이 완벽하지 않아 자료 공유는 종료합니다.

 

▼ 아, 그리고 매우 중요한 단일파일에 대한 바이러스 검사 결과입니다.

     (선택은 회원님들께서.....)

   

♣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오늘은 기온이 무려 38도를 찍었네요 ㅠ_ㅠㆀ

 

♣ 회원님들, 찜통더위 및 열대야에 건강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블로그 및 유튜브 채널
https://yhbaek.tistory.com/
https://www.youtube.com/@BaekUp

 

BaekUp

 

www.youtube.com

 

 

● 이번에 소개할 내용은 지난번 MS Outlook에 구글, 네이버, 카카오 계정을 등록하는 방법 중

  구글계정의 "앱 비밀번호" 옵션(항목)이 보이지 않는 문제에 대해,
  시청자 분께서 질문을 주셔서 그에 대한 해결방법을 소개하는 영상을 제작하였습니다.

 

● 영상에서는 크롬 브라우저 기준으로 설명하였나, 다른 브라우저도 설정 방법은 동일합니다.

 

▼ 브라우저를 실행한 후 우측 상단의 계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구글 계정관리

 

▼ 하단의 "도움말"

 

▼  "도움말 검색하기"에서 "앱 비밀번호" 입력 후 "앱 비밀번호로 로그인" 항목 클릭

 

 

▼ "앱 비밀번호를 만들고 관리합니다" 항목 클릭

 

▼ 구글계정의 본인인증 후 "앱 전용 비밀번호"를 만든 후 복사하여 Outlook 등에 사용

 

▼ "앱 비밀번호"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유튜브 영상

 

♣ 블로그 및 채널
https://yhbaek.tistory.com/
https://www.youtube.com/@BaekUp

 

BaekUp

 

www.youtube.com

 

 

안전모드 진입 스크립트 파일 공유

    ☞ 스크립트 파일(SafeMode_Manager.bat)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다운로드

SafeMode_Manager.bat
0.00MB

 

 

♣ 블로그 및 유튜브 채널
https://yhbaek.tistory.com/
https://www.youtube.com/@BaekUp

 

BaekUp

 

www.youtube.com

 

▶ 이번 내용은 지난번 Microsoft Outlook에 구글 및 네이버, 카카오 메일을 등록하는 방법과,
     등록된 3개의 계정(Gmail, Naver, Kakao)을 하나의 계정으로 통합하는 방법에 이어,
▶ 이번 시간에는 아웃룩의 중요한 메일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에 대한 영상입니다.
▶ 기본적으로 MS Office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Outlook의 송신 및 수신된 메일의 기본 저장위치는 C Drive가 됩니다.
▶ 그러나 운영체제인 윈도우가 오류로 인한 윈도우 부팅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되거나,
     또는 실수로 아웃룩의 데이터를 백업하지 못한 상황에서 운영체제를 새로 설치할 경우 아웃룩의 데이터는 삭제됩니다.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아웃룩의 기본 저장위치를 C Drive가 아닌 다른 드라이브로 지정해야 합니다.
▶ 구체적으로는 기본 저장위치의 pst 파일을 다른 드라이브로 옮기는 방법입니다.
▶ 가장 좋은 방법은 하나의 디스크에 논리적으로 나뉘어진 다른 드라이브로 옮기는 방법보다는,
     물리적으로 추가 설치된 다른 디스크 드라이브오 옮겨서 저장하는 방법이 아웃룩의 중요한 데이터를 보관하는게 가장 좋겠죠. 
▶ 이번 내용에서는 하나의 디스크에 논리적으로 분할된 파티션인 D Drive로 옮겨서 저장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유튜브 영상

 

♣ 블로그 및 채널
https://yhbaek.tistory.com/
https://www.youtube.com/@BaekUp

 

BaekUp

 

www.youtube.com

 

● 이번 영상은 지난번 Microsoft Outlook에 구글 및 네이버, 카카오 메일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영상에 이어
   등록된 3개의 계정(Gmail, Naver, Kakao)을 1개의 pst 파일로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영상입니다.
● 사용한 MS Outlook 버전은 Classic 버전을 이용하였습니다.
● MS Office를 기본값으로 설치하면 Outlook (Classic)이 설치됩니다.
● 그리고 구글 및 네이버, 카카오 메일은 "2단계 인증"을 설정한 기준으로 설명하였습니다.

 

♣ 유튜브 영상

 

♣ 블로그 및 채널
https://yhbaek.tistory.com/
https://www.youtube.com/@BaekUp

 

BaekUp

 

www.youtube.com

 

+ Recent posts